본문 바로가기

개발자의 하루/졸업 후 취업까지

입사 후 신입 개발자 교육 과정

일단 저는 대기업 프로젝트를 개발해주는 SI업무를 담당하는 회사로 입사했습니다.
중소기업이지만 10년정도 된 회사라 사원수도 좀 있고 다른 중소기업보다 체계적인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글은 입사후 신입 개발자가 뭘하는지 작성하겠습니다.

1. 컴퓨터 세팅 및 인사(첫날) 

입사 후 가장 먼저 자리를 배정받고 부서 사람들과 인사를 나눕니다.
서로 어색한 "안녕하세요~", "네 안녕하세요~"를 주고받습니다.
그 후 자리에서 컴퓨터 세팅을 시작합니다.
저는 MySQL, Java 1.8, Tomcat, MobaXterm, Eclipse를 설치했습니다.
회사마다 사용하는 툴이나 IDE는 다를 수 있고 사용하기 편한거 사용하면 좋지만, 가능하면 사수가 사용하는 것을 따라가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세팅 관련해서 막혔을 때 사수에게 물어보기 편하기 때문입니다.

2.신입 사원 교육(1주차~2주차)

회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신입 사원 교육 기간 동안에는 Spring에 대해 다시 한번 교육해 주는 회사도 있지만, 보통은 그 정도는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입사 후 리눅스 터미널 관련해서 로그 보는 법, 자주 쓰는 명령어 등을 교육받았고, 진행하게 될 프로젝트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을 들었습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별거 아니지만, 책임님이 설명해 주시는데 프록시가 어쩌구 베스천이 저쩌구 빅 쿼리가 저쩌구...ᄒᄒ 뭔 말인지 하나도 몰라서 메모 후 자리로 돌아가 구글에 열심히 검색한 기억이 있습니다.

3.소스 분석(3주차~8주차)

담당하는 프로젝트가 생긴 후 API를 분석합니다.
저는 여기서 많이 긴장했습니다. 내가 분석을 하지 못하면 어떻게 하지...라는 막연한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소스 자체는 물론 제가 사용하는 어노테이션, 함수 등은 다르긴 했지만 자바 소스 자체는 그렇게 어렵지 않았습니다.
구글 검색을 이용하면 충분히 분석 가능한 수준이었습니다.
그러나 mybatis 쿼리문은 너무 길어서 보기 힘들었습니다.
이전에는 학교나 교육기관에서는 이렇게 복잡한 조인 및 서브 쿼리문을 사용하지 않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쿼리를 볼 때 최대한 끊어서 보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리고 분석한 소스 내용을 기반으로 플로우차트를 그렸습니다.

 

총 정리하자면 스프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면 시간은 조금 걸릴수있지만 구글에 검색하면서 하면 충분히 분석할수있는 수준입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세요~ㅎㅎ

 

다음글 부터는 SI가 하는일, 제가 일하면서 쌓은 지식을 저만의 방식대로 설명을 해드리려고 합니다. 

'개발자의 하루 > 졸업 후 취업까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 졸업 후 취업 준비 - 2  (0) 2024.01.02
학교 졸업 후 취업 준비  (0) 2022.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