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필자는 전문대 소프트웨어정보학부에서 학점2.4 학점으로 졸업했습니다. 물론 토익,수상경력 그 어떤 스펙도 없었습니다. "어떻게 저런 스펙으로 취업했지?" 라고 생각하고 있으신가요??
지금 시작하겠습니다.
대학교 졸업 얼마 남지 않았을 때부터 취업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어요.
- 어떤 방향으로 취업할지(JAVA,C,C#,파이썬 기타등등)
- 내가 취업이 가능할까?(스펙에 대한 걱정)
- 내가 취업 후 개발일을 할 수 있을까?
고민1 금방 할 수 있었어요 국내는 JAVA라는 언어가 비중이 높고 그나마 자신 있는 언어가 JAVA였습니다.
밑에 자료 출처는 https://www.tiobe.com/ 입니다
TIOBE는 언어를 사용하는 엔지니어의 수, 웹사이트에서 검색된 횟수, 언어 관련 강좌 및 홈페이지의 수 수치를 기반으로 프로그래밍 언어 순위를 산정한 사이트 입니다.(지금은 java가 3위....몇년전은 1위였는데...2022-08-26기준 통계입니다)

고민 2는 직접 확인 해봤어요. 중소기업, 중견기업에 일단 이력서만 넣고 결과를 확인했어요
결론적으로는 물론 이력서가 너무 형편없어서 중견기업 전부 1차 서류 전부 불합격 중소기업 몇 개 합격 거기서 조금 희망을 봤어요 그래도 이런 스펙으로도 서류 합격이 가능하구나!
고민 3 이게 가장 큰 고민이죠. 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원을 찾아봤어요.
학원은 보통 6개월 복지카드 나오는데 시간도 있고 해서 저랑은 맞지 않았어요.
저는 4개월 안으로 끝내고 싶어서
교육 기관 쪽 으로 알아 보던 중 한국소프트웨어 산업협회에서 진행하는 웹개발자 교육과정이 눈에 들어왔어요 9시부터 18시까지 하루에 수업기간은 길지만 3개월이면 교육이 모두 종료 되는 교육과정이고 뭔가 학원보다는 신뢰도가 높았어요.
그러나...학원이랑은 다르게 면접도 봐서 붙어야 합니다.(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열심히 할 사람들만 뽑는 느낌입니다 어려운 질문은 하지 않아요)
TIP. 프론트엔드란?/백엔드란?
대부분 학원은 풀 스택으로 진행합니다. 풀 스택이란 java개발자는 보통 크게
프론트엔드, 백엔드가 있어요.
프론트엔드란? 웹 사이트,어플 등에서 사용자한테 보이는 영역을 담당합니다. 출력되는 화면에서 상호작용하는 모든 요소들 개발합니다.
백엔드란 사용자한테 보여지지 않는 부분을 담당합니다. 간단하게 보면 서버에서 데이트를 조회 하고 저장하고 수정하고 삭제하는 부분을 담당하신다고 보면 될꺼같아요.
Ex) 아래 사진처럼 사용자한테 보여지는 화면을 프론트엔드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로그인을 누르면 사용자한테는 보이지 않지만 아이디 비밀번호가 맞는지 확인을 하는 기능을 만드는게 백엔드 업무라고 알고 있으면될꺼 같아요.
프론트엔드, 백엔드를 합쳐서 풀스택이라고 합니다
안드로이드 개발,IOS개발도 보통은 프론트엔드라고 보시면 될꺼같아요. 둘다 물론 백엔드도 같이 개발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분리되어서 개발을 진행합니다
저는 면접보고 불합격 했지만 자리가 남아서 들어갔어요.^.^
소프트웨어산업협회에 교육에 특징을 간단하게 말씀 드릴게요
- 내일 배움 카드 없어도 나라에서 20만원씩 생활비를 지원해줘요.
- 고등학교 분위기 입니다. 지각하면 전화하고 체크하고 살짝 수업 끝나면 남아서 복습하고 반강제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좋았어요.
- 개인적으로 취업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어떻게 취업준비를 하는지 그리고 이력서 작성방법도 배우는데 저는 이런 부분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 비전전공자/전공자이지만 java수업을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 위주로 교육을 진행합니다.
필자가 하고 전달 하고 싶은 내용
학원 말고도 다른 개발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기관이 많이 있어요. 학원이 싫거나 시간이 맞지 않은 분들은 다른 교육기관을 찾아보세요.
"학교에서 수업을 제대로 따라가지 못했는데 괜찮을까?"또는 "비전공자인데 괜찮을까"라고 생각 하시는 분들 걱정 하지 마세요.
학교에서는 과목당 일주일에 3~5시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진도가 빠르고 당연히 따라가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교육기관에서 받으면 한 언어를 최소 20시간을 교육받아요. 그리고 실무에 집중해서 교육 받기 때문에 좀 대학교 교육과정과는 많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과 자기 자신을 비교하지 마세요 그리고 포기하지 마세요.
교육을 받다가 보면 나만 못 하는거 같은 느낌을 받으실수 있어요. 대부분 이론 교육받는 도중 포기를 많이 합니다. 솔직히 이론 좀 몰라도 프로젝트 진행하는데 문제 없어요. 잘 안되는 있으면 google선생님한테 물어봅시다. 그러면 매우 친절하게 자세히 쉽게 알려줍니다. 그러면서 차근차근 하나씩 만들면 됩니다. 꼭 반드시 직접 키보드로 타이핑 하세요.
참고로 이미 개발자로 일하시는 분들도 구글 많이 이용합니다. 구글 검색을 잘하는 방법도 기술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장은 취업 준비방법 관련해서 경험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개발자의 하루 > 졸업 후 취업까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사 후 신입 개발자 교육 과정 (2) | 2024.01.03 |
---|---|
학교 졸업 후 취업 준비 - 2 (0) | 2024.01.02 |